무엇을 근거로, 점점 더 복잡해져 가는 세계 속에서 최적의 선택을 내릴 것인가? 어떻게 하면 주권자로서, 존엄의 주체로서 스스로를 당당하고 힘있는 존재로 경험하며 살아갈 수 있을까?
이번 수업은 바로 이러한 물음에 응답하기 위한 특별한 시간이 될 것입니다.
1. 그러기 위해 '생명성'을 중심에 놓고 전개하는 빅 히스토리적 관점과,
2. 고대에서 중세, 근대를 넘어 계속해서 생성중인 현대성에 대한 철학적 입장,
3. 그리고 주체적이고 힘있는 개인성을 성취하기 위해 지난 세기부터 치열하게 탐구를 거듭해 온 심리학과 상담학의 유산을 한 자리에서 종횡으로 엮어 내것으로 만들어 보려 합니다.
흔들리지 않는 든든한 자신감과 존엄, 그리고 자기에 대한 신뢰와 사랑으로 이 삶을, 이 시대를 당당히 걸어가고자 하는 동료 제현들께 초대의 말씀을 드립니다.
Table of Content
1. 시대정신이 가하는 압력 : 중심의 해체와 개인의 각성
ㄴ프리드리히 니체의 예언과 윌리엄 깁슨의 선언
ㄴ2006년, 타임지가 '당신'을 올해의 인물로 선정한 이유
ㄴ집단주의의 붕괴와 강력한 자아의 탄생
ㄴ생명의 약동(엘랑 비탈)은 우리를 어디로 이끌고 있는가?
2. 인류의 심리발달과 개인 심리발달의 공共진화
ㄴ자연을 중심에 놓았던 고대 : 유아기
ㄴ신을 중심에 놓았던 중세 : 아동기
ㄴ인간을 중심에 놓았던 근대 : 사춘기
ㄴ자연, 신, 인간을 통합하는 현대 : 성인기
ㄴ자아 이전부터 자아 초월까지, 자아 발달의 8단계
3. 신도 왕도 사라진 시대에서 개인이 된다는 것
ㄴ언어를 갖지 못한 자는 자아를 가질 수 없다
ㄴ언어를 넘지 못하는 자는 개인(In-dividual)이 될 수 없다
ㄴ외부의 권위와 힘에 기대는 것이 더는 불가능한 이유
ㄴ외로움은 증상이 아니다. '힘겹게 얻어낸 성취'다
ㄴ불안함은 문제가 아니다. '내게 힘이 있다는 증거'이다.
4. 세계관의 전환(Turn the world view)
ㄴ이원론에서 일원론으로
ㄴ인과론에서 목적론으로
ㄴ결정론에서 생성론으로
ㄴ가치론에서 의미론으로
ㄴ효율성에서 아름다움으로
5. 제왕학의 구성
ㄴ종지宗旨 : 무ㅡ의미하므로 무ㅡ조건적이다
ㄴ요결要訣 : hear(정직) / know(지혜) / choice(자유) / become(책임) / do(힘)
6. 상대에서 절대로
ㅡ새로운 제왕학 : 왕권신수(Divine rigths of kings)
ㅡ'나'의 절대성을 깨닫기 = '나'의 절대성을 선택하기
ㅡ제왕의 황금열쇠 : "그럼에도 불구하고"